본문 바로가기
기업 재무제표 분석 및 투자 방법론

재무제표의 연결과 분석 관점

by timestore 2024. 3. 3.

재무제표의 연결

재무제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은 재무상태표의 이익잉여금으로 이어져서 배당 등의 재원을 제외하고 이월이익잉여금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익잉여금은 결국 과거 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이 누적되어 쌓인 것이다.

 

또한 간접법으로 작성한 현금흐름표의 경우 영업활동현금흐름은 당기순이익부터 출발한다. 여기에서 외상 판매로 매출액이 증가하였으나 아직 현금으로 잡히지 않은 부분은 빼고, 외상 매입으로 비용은 발생하였으나 아직 현금을 지출하지 않은 부분은 더한다. 감가상각비처럼 현금의 이동을 수반하지 않는 비용 또한 더해준다. 

 

그리고 재무상태표의 현금은 현금흐름표의 기말 현금 잔액과 일치한다. 물론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현금흐름표의 경우 현금과 3개월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금융상품이 포함되는 반면, 재무상태표의 경우 현금과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금융상품이 포함되는 차이가 있긴 하다. 그러나 큰 범주에서 거의 일치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재무제표의-연결
재무제표의 연결

 

이러한 관계를 그림으로 인지하고 있다면 앞으로 재무제표를 볼 때 서로 간의 연결성이 보일 것이다.

 

재무제표 분석 관점

결국 재무제표 분석이란 다음의 5단계를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1. 어떻게 돈을 모으고 있는가?
2. 그 돈을 무엇에 투자하고 있는가?
3. 투자한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 매출을 올리고 있는가?
4. 매출액 중 얼마나, 어떻게 이익으로 남기고 있는가?
5. 사업 전체 과정에서 현금은 어떻게 이동하고 있는가?

 

이를 파악하기 위한 주요 4가지 지표는 다음과 같다.

1. 자기자본이익률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2. 부채비율(%) = 타인 자본 / 자기 자본 * 100
3. 총자산(총자본)회전율 = 매출액 / 총자산(총자본)
4. 당기순이익률 (%) = 당기순이익 / 매출액 * 100

 

위의 관점과 지표를 기준으로 실제 기업의 재무제표를 살펴보면 이제 기업 재무제표 분석을 위한 기본 준비는 끝이다. 이어서 해야 할 일은 재무제표 중 주요한 계정을 선별하고, 숫자를 기반으로 재무제표별 차트를 만들어 직관적으로 비교해 볼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고 나서 경쟁사와 비교, 업계 평균과 비교를 해나가면 된다. 필요할 경우 전체 산업군과도 비교할 수 있다.

 

주요 계정을 선별하는 이유는 기업마다 금액적 중요성이 큰 계정이 있기 때문이다. 금액이 크다는 것은 사업에서 비중이 큰 계정이라는 것이고, 기업의 특정 활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계정이라는 뜻이다. 업종별로, 기업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또 재무제표를 차트로 만들면 계정별 비중과 재무제표 간 크기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재무상태표의 경우 현금의 비중, 차입금의 비중, 이익잉여금의 비중 등을 볼 수 있고,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크기를 비교하며 총자산 대비 손익 규모에 대한 감을 잡을 수도 있다. 이는 실제로 분석하며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