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

기업의 주주환원 투자자에게 기업의 주주환원은 중요한 이슈다. 기업은 매년 결산을 하고 나서 남은 돈을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한다. 미래의 성장을 위해 사내에 유보할 수도 있고, 주주에게 돌려줄 수도 있다. 주주에게 돌려주는 과정을 주주환원이라고 한다. 사내 유보 경영진이 당해연도의 이익을 사내에 남겨두는 결정을 할 때는 명분이 있어야 한다. 주주 입장에서 유보된 이익이 미래에 더 큰 이익으로 돌아올 거라는 믿음을 기업이, 경영진이 보여주지 못한다면 납득하기 어렵다. 필립 피셔는 단지 사업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불필요한 유동자산을 기업에 쌓아두는 행위를 "마땅히 주주들에게 돌아가야 할 재산을 돌려주지 않고 자신의 안전판으로 사용하는" 행위라고 했다. 주주환원 국내 주식시장의 경우 코로나19 이후 개인투자자 유입이 증가.. 2024. 3. 18.
가치 평가 - 경영진 경영진의 중요성 투자자가 투자한 기업에 기대하는 것은 높은 초과수익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주주를 위해 가치를 지속적으로 늘려나가는 모습을 바란다. 기업 내에서 이러한 일을 해내고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이 바로 경영진이다. 필립 피셔는 "주식을 평가할 때 중요 기준 중 90%는 경영진의 능력, 9%는 업종, 1%는 기타 요소들이다"라고 했다. 그는 '위대한 기업에 투자하라'라는 저서에서 좋은 주식을 고르는 15가지 조건을 말하는데 이 중 절반 가량이 경영진에 대한 내용이다. 경영진의 역할에 따라 주당 순이익이 크게 오르내릴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경영진은 일반 직원에 비해 숙련된 전문성을 인정받고 더 많은 보상과 책임을 지기로 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기업의 운영 효율성을 제고하고, 포지셔닝을 결.. 2024. 3. 12.
가치 평가 - 수익률 기대수익률은 할인율의 다른 말이다. 만약 투자 결과 기대수익률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면 그 차액이 초과 수익이다. 그리고 이러한 초과 수익이 5년, 10년 등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이것이 곧 기업의 미래에 대한 투자자의 전망이 된다. 여기에서 PBR에 대한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적정 PBR과 장기 기대수익률 PBR은 본래 시가총액/순자산으로 구한다. 다른 말로 하면 기업이 순자산을 보유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앞으로 얼마나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인지에 대한 기댓값이라 할 수 있다. 어떤 회사의 순자산이 500억 원인데 시가총액이 1,000억 원이라면 PBR은 2다. 이것은 500억 원을 투자하여 동일한 업종의 새로운 회사를 설립했을 경우 기대되는 가치가 1,000억 원이 된다는 말이다... 2024. 3. 12.
가치 평가 - 할인율 CAPM(Capital Asset Pricing Model, 자본자산 가격결정 모형)의 정의 할인율은 미래의 이익을 현재로 환산하는 비율이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정의되는지 알기 위해 재무학에서 말하는 CAPM이라는 개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Ke = Rf + βi(Rm-Rf) - Ke : 할인율 - Rf(Risk free rate) : 무위험 수익률 - βi : 주식의 베타 - Rm(Market rate) : 시장 수익률 - Rm-Rf : 리스크 프리미엄 먼저 베타는 특정 주식이 전체 주식 시장 대비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나타낸 값이다. 이와 비슷한 지표로 표준편차(분산), 상관계수가 있다. 표준편차는 방향성 없이 변동폭만을 나타내고, 상관계수는 -1에서 1 사이의 값으로 방향성은 알 수 있으나 얼마나 .. 2024. 3. 12.